문제 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11779
11779번: 최소비용 구하기 2
첫째 줄에 도시의 개수 n(1≤n≤1,000)이 주어지고 둘째 줄에는 버스의 개수 m(1≤m≤100,000)이 주어진다. 그리고 셋째 줄부터 m+2줄까지 다음과 같은 버스의 정보가 주어진다. 먼저 처음에는 그 버스
www.acmicpc.net
문제
n(1≤n≤1,000)개의 도시가 있다. 그리고 한 도시에서 출발하여 다른 도시에 도착하는 m(1≤m≤100,000)개의 버스가 있다. 우리는 A번째 도시에서 B번째 도시까지 가는데 드는 버스 비용을 최소화 시키려고 한다. 그러면 A번째 도시에서 B번째 도시 까지 가는데 드는 최소비용과 경로를 출력하여라. 항상 시작점에서 도착점으로의 경로가 존재한다.
입력
첫째 줄에 도시의 개수 n(1≤n≤1,000)이 주어지고 둘째 줄에는 버스의 개수 m(1≤m≤100,000)이 주어진다. 그리고 셋째 줄부터 m+2줄까지 다음과 같은 버스의 정보가 주어진다. 먼저 처음에는 그 버스의 출발 도시의 번호가 주어진다. 그리고 그 다음에는 도착지의 도시 번호가 주어지고 또 그 버스 비용이 주어진다. 버스 비용은 0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보다 작은 정수이다.
그리고 m+3째 줄에는 우리가 구하고자 하는 구간 출발점의 도시번호와 도착점의 도시번호가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출발 도시에서 도착 도시까지 가는데 드는 최소 비용을 출력한다.
둘째 줄에는 그러한 최소 비용을 갖는 경로에 포함되어있는 도시의 개수를 출력한다. 출발 도시와 도착 도시도 포함한다.
셋째 줄에는 최소 비용을 갖는 경로를 방문하는 도시 순서대로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5
8
1 2 2
1 3 3
1 4 1
1 5 10
2 4 2
3 4 1
3 5 1
4 5 3
1 5
예제 출력 1
4
3
1 3 5
문제 풀이
우선순위 큐(PriorityQueue)와 다익스트라를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하였다.
각 도시에서 다른 도시로 이동하는 버스 정보를 담을 Node 클래스를 만들고 출발 도시를 기준으로 ArrayList<Node>를 담을 배열 객체를 선언하여 저장한다. 우선순위 큐에 출발 도시번호를 저장하고 반복문을 돌려가면서 최적해를 찾는다. 우선순위 큐를 이용하여 반복문을 진행하기 때문에 다른 정점으로 가는 비용은 언제나 최솟값이 된다. 방문체크를 하여 한벙 방문한 정점으로는 다시 방문하지 않도록 한다.
큐에 더이상 값이 존재하지 않으면 최소 비용을 갖는 경로의 도시의 개수를 출력하고, 경로 또한 출력한다.
코드
import java.io.*;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_BJ_11779_최소비용구하기2 {
static class Node implements Comparable<Node> {
int e, cost;
public Node(int e, int cost) {
super();
this.e = e;
this.cost = cost;
}
@Override
public int compareTo(Node o)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return Integer.compare(this.cost, o.cost);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NumberFormatException,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int n, m;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m = Integer.parseInt(br.readLine());
List<Node>[] buses = new ArrayList[n + 1];
for (int i = 1; i <= n; i++) {
buses[i] = new ArrayList<>();
}
for (int i = 0; i < m; i++)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buses[Integer.parseInt(st.nextToken())]
.add(new Node(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eger.parseInt(st.nextToken())));
}
int s, e;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s = Integer.parseInt(st.nextToken());
e = Integer.parseInt(st.nextToken());
PriorityQueue<Node> queue = new PriorityQueue<>();
queue.offer(new Node(s, 0));
int[] dist = new int[n + 1];
int[] course = new int[n + 1];
boolean[] visited = new boolean[n + 1];
Arrays.fill(dist, 1_000_000_001);
dist[s] = 0;
course[s] = 0;
while (!queue.isEmpty()) {
Node now = queue.poll();
if (visited[now.e])
continue;
visited[now.e] = true;
for (Node node : buses[now.e]) {
if (dist[now.e] + node.cost < dist[node.e]) {
dist[node.e] = dist[now.e] + node.cost;
course[node.e] = now.e;
queue.offer(new Node(node.e, dist[now.e] + node.cost));
}
}
}
sb.append(dist[e] + "\n");
List<Integer> res = new ArrayList<>();
int cur = e;
while (cur != 0) {
res.add(cur);
cur = course[cur];
}
sb.append(res.size() + "\n");
for (int i = res.size() - 1; i >= 0; i--) {
sb.append(res.get(i) + " ");
}
System.out.println(sb);
}
}
'JAVA > 알고리즘 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boj 16928 뱀과사다리게임 (0) | 2022.03.06 |
---|---|
[JAVA] boj 2267 단지번호붙이기 (0) | 2022.03.06 |
[JAVA] boj 5430 AC (0) | 2021.12.27 |
[JAVA] boj 1405 미친 로봇 (0) | 2021.12.27 |
[JAVA] boj 1365 꼬인 전깃줄 (0) | 2021.12.27 |